SW/Python

[Python 문법] 수 자료형

ahhyeon 2023. 3. 7. 00:13

1. 수 자료형

1-1. 정수형(integer)

  •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
    • 양의 정수, 음의 정수, 0이 포함
# 양의 정수
a = 2023
print(a) // 2023

# 음의 정수
a = -2023
print(a) // -2023

# 0
a = 0
print(a) // 0

 

1-2. 실수형(float)

  •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
    •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소수점을 붙인 수를 대입 => 실수형 변수로 처리
    • 소수부가 0 또는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략 가능
# 양의 실수
a = 2023.03
print(a) // 2023.03

# 음의 실수
a = -2023.03
print(a) // -2023.03

# 소수부가 0일 때 0을 생략
a = 3.
print(a) // 3.0

# 정수부가 0일때 0을 생략
a = -.3
print(a) // -0.3

 

1-3. 수 자료형의 연산

  • 사칙연산과 나머지 연산자가 주로 사용
  • 단, 나누기 연산자(/)는 주의해서 사용할것
    • 파이썬에서 나누기 연산자(/)는 나눠진 결과를 실수형으로 반환함
  • 다양한 로직을 작성할 때 나머지 연산자(%)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
    • ex) a가 홀수인지 체크할 경우
  • 파이썬에서는 몫을 얻기 위해 몫 연산자(//)를 사용
  • 이외 거듭 제곱 연산자(**)를 비롯한 다양한 연산자들이 존재

 

간단한 수식
a = 2
b = 3

# 더하기
print(a + b) 

# 빼기
print(a - b) 

# 곱셈
print(a * b) 

# 나누기
print(a / b)

# 나머지
print(a % b)

# 몫
print(a // b)

# 거듭제곱
print(a ** b)

# 제곱근
print(a ** 0.5)